FK-5-1-12 소화약제의 친환경성 알아보기
페이지 정보
조회 36회 작성일 25-04-13 20:01
본문
FK-5-1-12(Novec-1230) 친환경성 알아보기
가스계 소화약제에서의 친환경성은 보통 "오존층 파괴 지수" 와 "지구 온난화 지수"로 표현합니다
오존층은 지구의 생명을 지켜 나가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오존층 파괴 물질은 사용이 제한 되어야 합니다.대표적인 "할론(Halon) 가스"는 우수한 소화진압능력을 갖추었지만, 오존층 파괴물질이였기 때문에 현재는 생산이 금지 되었습니다. 단, 생산 금지 조치 전에 생산한 량에 대해서는 전세계적으로 회수 및 재사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가스계 소화약제에서의 1세대인 할론가스는 생산이 금지되어 더 이상 사용을 못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오존층 파괴물질이 없는 대체가스로 HFCs 계열(할론겐화합물, 수소(H)-불소(F)-탄소(C) 결합체)의 소화약제가 사용 되어집니다. 간혹 해외 저널에서는 HFCs 계열을 2세대 소화약제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국내에서는 HFC-23, HFC-125, HFC-227ea 계열이 주로 사용되어집니다만 HFCs 계열의 소화약제는 오존층 파괴물질은 없지만 대기상에서 분해되는데까지 오래 걸려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즉, 대기상 잔존년수가 높아 온실효과를 유발하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가스계 소화약제의 환경적인 지수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가스계 소화약제 시장 점유율 1위인 HFC-23의 경우 지구 온난화지수가 너무 높아
2016년 1월 1일부터 유럽연합에서는 생산/유통/사용이 금지 되었습니다.
표에서도 보시면 아시겠지만, HFCs 계열의 소화약제는 대부분 지구 온난화 지수가 높고 이에 따라
대기 잔존시간이 매우 길다는 걸 아실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지난해 열린 파리기후협약을 통해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 모두 지구 온난화 지수가
높은 물질에 대해 사용을 줄이고, 대체 물질을 사용하자는 취지로 50%이상 나라가 서명하여 발의가
완료되었습니다. 물론 HFCs 계열의 가스가 완전 사용 금지가 되는 데 까지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앞으로 할론과 같은 길을 걸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론]
* FK-5-1-12는 HFC-227ea나 HFC-125에 비해 **지구온난화지수(GWP)**가 매우 낮고,
대기 중 잔존수명도 짧기 때문에 친환경 소화약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오존층 파괴지수(ODP)는 0입니다."끝"
- 이전자료갓파이어 제품소개 팜플렛 25.04.24
- 다음자료2025년 코리아나라장터 EXPO 전시회 "갓파이어" 참가 25.03.09